애드 센스 승인 후 달러 지급을 위해 몇 가지 설정해야 합니다. 수익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마치 게임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것처럼요! 미국 세금 정보를 입력할 때, 법적 이름과 계좌 이름이 맞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보입니다. 구글 각 계정에 표시된 이름을 영문명으로 바꿔야 합니다.
○ 구글 애드 센스 세금 정보 입력 전 확인해야 할 부분 (ft. PIN번호 입력, 구글 계정 이름 등)
○ 미국 세금 정보 입력 시 TIN번호 입력
애드 센스 세금 정보 입력 전 준비 사항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수익이 100달러가 넘어가도 100%를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세금이 있습니다. 가령 미국 사람이 블로그에 들어와서 광고를 클릭하면,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 수익은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수익이 아니므로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세금 정보를 입력하기 전 몇 가지 상황을 체크합니다.
구글 애드 센스에 접속합니다. 세금 정보에 대한 내용을 입력하기 전 본인 확인을 완료해야 합니다. 왼쪽 카테고리의 지급을 클릭하면, 하위 카테고리에 "결제 정보" , "본인 확인"을 볼 수 있습니다. 수익 10달러가 넘어가면, PIN번호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애드 센스에서 알림이 뜨면, 가입 시 주소지 확인 후 PIN번호는 우편물로 받을 수 있습니다. 2주 정도 소요가 되는데, 이 번호를 통해 본인 확인을 진행해야 합니다.
다음은 결제 정보에 들어갑니다. 수익이 50달러가 넘어가면, 애드 센스에서 다양한 알림을 보냅니다. 세금 정보 입력 관련입니다. 설정 관리에 들어갑니다. "결제 프로필 → 이름 및 주소"를 확인합니다. 처음 애드 센스를 가입할 때 이름을 여권 이름과 같이 맞췄다면, 미국 세금 정보 신고 시 불편함이 없었을 것 같아요, 조금 고생했지만 방법은 간단합니다. 애드 센스 가입은 구글 이메일로 하셨을 거예요, 구글은 모든 정보가 연동되어 있습니다. 세금 정보 입력 전에 먼저 구글 사이트의 이름을 영문으로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 크롬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 구글 계정 아이콘을 누릅니다.(크롬으로 접속하면 편합니다), google 계정관리를 클릭합니다.
- 왼쪽 카테고리의 개인 정보를 클릭합니다. 중간 화면의 이름이 닉네임으로 되어있는지, 한글 이름으로 되어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본인의 여권 이름과 같이 이름을 변경합니다.
- 이름과 성을 한국 어순과 똑같이 할지, 아니면 한국 방식으로 성이 앞에 이름이 뒤에 오게 하는지는 크게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홍길동 → HONG GIL DONG" 으로 적습니다.
미국 세금 정보 진행 방법(TIN 번호 입력 안함)
다시 "결제 정보 → 설정 관리" 돌아와서 마국 세금 정보를 클릭합니다. 하단의 파란색 글씨가 나타납니다. "세금 정보 관리"를 클릭합니다. 새 양식 제출을 클릭합니다. 구글 계정의 이름을 영권에 있는 이름과 같이 작성했다면, W-8 BEN 양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단, TIN번호 기입란은 선택사항입니다. TIN 번호는 국내 사업장 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차이는 미국인에 의해 발생한 수익의 원천 징수 퍼센트가 10% 인지 30% 인지의 차이입니다. 국내에서 티스토리 또는 워드프레스를 운영할 경우 굳이 TIN번호를 제출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추후 구글 애드 센스로 벌어들이는 수익을 체크하고 변경해도 됩니다.
제출이 다 끝나면, 법적 이름과 계좌의 이름이 확인되지 않아 미승인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여권을 스캔하여 증빙 자료로 제출하면, 늦어도 다음날 아침에는 승인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티스토리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품질 관리 너무 목메지 말아요 (0) | 2023.04.25 |
---|---|
구글 애드 센스 승인 거절 이유 분석 (0) | 2022.10.21 |
구글 애드 센스 광고 크롤러 오류 2가지 해결 방법 (0) | 2022.10.13 |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구글 유입 키워드를 어떻게 찾을까?(ft.구글 서치 콘솔 검색어) (0) | 2022.07.28 |
수익을 위한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ft. 티스토리 애드 센스) (0) | 2022.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