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할 때 초기 세팅을 잘해놓으면, 추후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더해지면서 굉장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여러 정보를 찾아다니면서,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면서 스스로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글의 제목 배경 색과, 구독자 없애기 기능 등 그 이유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 외부 플랫폼 유입 설정 방법
○ 구글 애드 센스 승인 전 세팅 해야 할 것
○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모드 기본 세팅 방법
구글 및 외부 노출과 유입을 위해 꼭! 설정해야 할 세팅
처음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면, 다음 검색에 최적화하기가 쉽습니다. 카카오 티스토리가 다음 기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다음만 보고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외부 플랫폼에 우리의 블로그가 살아 숨 쉬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 zum 사이트 등록 - 포털사이트에서 'zum 고객센터'를 입력 후 순차적으로 사이트 등록을 진행합니다.
- bing 웹마스터 도구 - 포털사이트에서 'bing 웹마스터 도구'를 입력합니다.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html 코드를 부여받게 됩니다. 이 코드를 자신의 블로그의 스킨 편집 -> html 설정에서 가장 상단을 보면 <head>와 </head> 사이에 복사 붙여 넣기 합니다. 앞으로 심는 모든 추적 코드 및 외부 소스는 전부 이 사이에 집어넣어 줍니다. 코드를 넣어주면서 나중에 볼 때 헷갈리지 않게 주석을 달아주는 것은 꿀 팁니다. 주석은 <!--구글 서치 콘솔-->의 형식으로 기입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검색등록 - 포털사이트에서 '다음 검색등록'을 입력 후 순차적으로 등록을 진행합니다. 등록 후 확인 메일은 1~2시간 후에 받을 수 있습니다.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 네이버에 노출을 하기 위해서 검색하고 들어가면, 블로그 주소 등록 -> html 코드 복사 -> <head>와 </head> 사이에 추적 코드를 입력합니다.
- 구글 서치 콘솔 - 구글은 콘솔이라고 부릅니다. 마찬가지로 추적 코드를 자신의 블로그에 복사 붙여 넣기 합니다.
- 그 외 구글 애널리틱스, 네이버 애널리틱스를 순차적으로 연결합니다.
최근 구글 애널리틱스의 경우 GA4 버전과 UA버전을 같이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UA버전의 서비스가 종료될 예정입니다. UA버전에는 우리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실시간 검색어를 볼 수 있는데 일단은 서비스가 종료되기 전까지는 열심히 활용해야겠습니다.
구글 애드 센스 가입 후 승인 받기 전 광고 코드 삽입하기
티스토리를 만들고, 구글 애드센스에 가입합니다. 구글 이메일만 있으면, 가입절차는 어렵지 않습니다.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전 광고 코드를 삽입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는 분들도 있지만, 처음부터 글을 쓸 때 광고의 위치를 선점하면, 추후 승인받고 나서 광고를 세팅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 SEO에 맞춰 글을 쓰는 연습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므로 애드센스 가입 후 광고 코드를 본문에 심어놓으면 좋습니다.
그밖에 원활하게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한 블로그 세팅 방법에 대해 공유합니다. 티스토리 본문의 제목 배경에 그림이 들어가 있을 거예요 저는이게 너무 보기 싫어서 회색으로 세팅했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모드에 들어가서 스킨 편집 선택 후 html을 클릭합니다. 익숙하지 않은 html 화면 안에서 Ctrl + F를 누르고 'post-cover'를 찾습니다. rul을 'none'으로 대체합니다.
우리가 구글에서 글을 쓸 때 중요하게 생각는 부분은 h문법입니다. 이 문법은 글을 소재목 단위로 나누고 본문을 나누어 써야 구글 알고리즘이 내 글을 잘 긁어간다라는 믿음이 생기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구글 SEO를 맞추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때 h1은 블로그 글의 제목(타이틀)이고 다음 글쓰기 에디터 안에서, 제목 1, 제목 2, 제목 3을 각각 h2, h3, h4로 볼 수있습니다. 티스토리는 기본적으로 h4까지 세팅되어 있습니다.
글을 쓸때 왼쪽 상단의 사진 옆에 본문 2로 맞춰져 있을 거예요 이 부분을 클릭하면, 제목 1, 제목2, 제목 3 가 있는데 글을 쓸때 순차적으로 적용히면 됩니다.
이 세 아이들의 글씨 크기를 같게 맞추기 위해 스킨 편집에서 HTML을 누르고 CSS편집에 들어갑니다. 'entry-content'를 검색해서 h태그들을 찾습니다. h1을 제외한 나머지를 font-size 1.5로 똑같이 설정합니다. (기호에 맞춰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크기를 다르게 해도 무방합니다.), 글을 쓰는 도중에는 h태그의 글씨 크기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발행하면 적용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모드에서 꼭 설정해야 할 꿀팁!
왼편의 블로그 관리 홈 및에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먼저 콘텐츠 하단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저장할 글 상태는 비공개로 합니다. 단락 앞뒤에 공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로 설정합니다. CCL의 경우 표시합니다로 바꾸고 상업적 이용 비허용, 콘텐츠 변경을 비허용으로 세팅합니다.
꾸미기 카테고리로 이동합니다. 스킨은 북클럽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블로그 운영 초기에 많은 사람들이 운영하는 스킨을 이용하면 추후 궁금증이 있을 때 검색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용이합니다.
사이드바는 전부 삭제합니다. 메뉴에서도 홈을 남기고 전부 삭제합니다. 모바일 자동연결은 하지 않습니다로 설정합니다. 블로그 메뉴바는 표시합니다. 구독 버튼은 표시하지 않습니다. 플러그인 설정은 자세한 내용을 하나씩 검색해서 필요할 때마다 맞춤형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앞서 소개드렸던 추적 코드를 심어야 하는 플랫폼과는 모두 연동해줍니다.
마지막으로 관리 탭 하단의 블로그를 선택합니다. 블로그 설명란에 키워드 중심으로 앞으로 포스팅할 주제들을 적습니다. 예를 들어 산업안전보건법, 기업경영컨설팅 등으로 적습니다. 주소 설정의 하단 항목 중 포스트 주소는 문자로 표기합니다. 구글 SEO 관점에서 숫자보다 문자를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소개드린 글은 개인적인 견해와 경험에 기반한 내용입니다. 로직은 언제든 변화될 수 있는 부분으로 우리는 변화에 맞춰 나가기 위해 노력할 뿐입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티스토리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품질 관리 너무 목메지 말아요 (0) | 2023.04.25 |
---|---|
구글 애드 센스 승인 거절 이유 분석 (0) | 2022.10.21 |
구글 애드 센스 광고 크롤러 오류 2가지 해결 방법 (0) | 2022.10.13 |
구글 애드 센스 미국 세금 정보 입력 시 주의 사항(ft. 영문 이름, TIN 번호) (1) | 2022.10.01 |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구글 유입 키워드를 어떻게 찾을까?(ft.구글 서치 콘솔 검색어)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