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를 하면서 안정된 방문자수를 얻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티스토리 블로그는 다음 기반이기 때문에 다음에서 조회수가 많이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네이버, 줌, 빙 등 여러 가지 사이트에서 얻는 조회수도 같이 가져가야 합니다. 또한, 구글에 노출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키워드를 찾기 위한 첫걸음 구글 서치 콘솔
우리가 티스토리에 쓰는 글이 구글에 잘 노출되기 위해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 우리의 블로그를 입력시켜야 합니다. 이 작업을 색인 등록이라고 합니다. 포털사이트에 '구글 서치 콘솔'을 검색하고 오른쪽 화면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입력 후 html에 입력할 코드를 부여받습니다. 티스토리 관리 모드에서 왼쪽 하단의 '스킨 편집'을 클릭합니다. 스킨 편집에서 html을 선택합니다. <head>와 </head> 사이에 구글 서치 콘솔에서 부여받은 코드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이제 구글 서치 콘솔이 우리의 블로그 페이지를 하나하나 가져갈 준비가 되었습니다. 페이지는 우리가 쓰는 글을 말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어느 정도 데이터가 쌓일 때까지 길면 하루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때부터 쌓이기 시작한 데이터는 최소 한 달 정도는 지켜봐 주어야 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우리가 분석할만한 데이터가 쌓이기 전까지 우리가 해볼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습니다.
- 다음의 유입 키워드를 통해 방문자가 어떤 내용을 궁금해하는지 유추해 본다.
- 평소 본인이 궁금했던 내용을 구글에서 찾아보고 광고가 최소인 키워드를 선정한다.
- 대출, 부동산 등 위험한 키워드 또는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분야는 피한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키워드 뽑아내기!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합니다. 왼쪽 상단의 '실적'을 누릅니다. 오른쪽 화면의 중단에 '검색어' 카테고리 바로 오른쪽의 '페이지'를 클릭합니다. 노출이 많은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상위권에 있는 페이지는 구글에서 우리의 글을 잘 데려가서 여러 사람에게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이제 해당 페이지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를 분석하는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해당 페이지 검색 화면에서 이번엔 '검색어'를 클릭합니다. 게제순위가 50~80정도가 되는것은 구글에서10페이지 정도에 해당합니다. 해당 페이지의 게제순위(숫자가 1~10), 노출(숫자가 클수록 좋음)은 좋은데 클릭율이 없다면 실제로 인기가 없는 키워드일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해당 페이지의 검색어 게제순위가 낮고(50 이상의 숫자) 노출, 클릭률(0에 근접한 숫자)이 잡히지 않는다면 긍정적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 키워드로는 너무 멀리 있어서 사람들이 못 본다는 긍정적인 사고방식의 하나입니다.
즉 내 블로그에서 가장 인기 있는 페이지는 어떤 검색어로 들어올까를 생각한 뒤, 그 검색어로 찾았을 때 게제순위가 낮고(50~80) 정도 노출이 잘 안 되는 것은 그 키워드를 써서 같은 내용을 적으면 조회수를 올릴 수 있는 빌미를 만들 수 있다입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티스토리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품질 관리 너무 목메지 말아요 (0) | 2023.04.25 |
---|---|
구글 애드 센스 승인 거절 이유 분석 (0) | 2022.10.21 |
구글 애드 센스 광고 크롤러 오류 2가지 해결 방법 (0) | 2022.10.13 |
구글 애드 센스 미국 세금 정보 입력 시 주의 사항(ft. 영문 이름, TIN 번호) (1) | 2022.10.01 |
수익을 위한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ft. 티스토리 애드 센스) (0) | 2022.07.20 |
댓글